본문 바로가기

학벌만능주의2

블라인드 채용법과 분교 논란 고민정 의원이 페이스북에 쓴 글이 논란이다. 표면적으로 보자면 고민정 의원이 본문에 사용한 '분교'라는 단어가 논란의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. 나 역시 이른바 '분교'라는 대학을 나온 사람 중 한 명이라 관심이 가서 고민정 의원의 페이스북 글을 원문으로 읽어 보았다.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단순히 '분교'라는 단어의 사용보다 고민정 의원의 글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기에 논문 교정하는 작업처럼 몇 가지 의문을 제기 해 보고자 한다. 먼저, 이해를 돕기위해 고민정 의원의 페이스북에서 고민정 의원이 썼던 원문을 보자. 글은 다음과 같다: 1) 오늘은 #전태일열사의 51주기. ‘#블라인드채용법’을 발의하기 위해 민주당 의원들께 글을 썼습니다. 2)“다들 선거로 바쁘실테지만 청년들이 출신학교를 지운 ‘블라인.. 2021. 11. 15.
명문대라는 숭고한 대상 I 우리 사회의 명문대 이데올로기 우리 사회의 이른바 "학벌 만능주의"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뤄져 온 주제이다. 그래서 이 주제를 의미 있게 다루려면, 조금은 지엽적으로 글의 방향성을 설정해야 할 것 같다.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소위 "명문대 이데올로기"가 무엇인지 규정하고, 명문대 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방식,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서만 다루어 보려고 한다. ​ 1. 명문대 이데올로기 ​ 우리 사회에서 명문대란, 보통 SKY로 대표되는 서울대, 연세대, 고려대, 그리고 IVY리그에 속해있는 미국 대학들을 의미한다. 그리고 불행하게도 한국의 초, 중, 고 교육은 보통 이런 좋은 대학에 학생들을 많이 보내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 대학 입시가 결정되면, 고등학교에서는 교문에 '이 학교에서 몇 명의 명문대 생이 배출되었는지.. 2020. 9. 26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