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리학은 도덕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.
1) 규범 윤리학 Normative Ethik: 규범 윤리학은 이미 존재하는 도덕을 평가 (bewertet)하거나 자신만의 도덕 시스템을 구축한다.
»무엇이 "올바른" 도덕인가?«
예시: 사형제도
규범 윤리학의 입장은 법과 대척점에 위치할 수 있다.
"누군가를 죽이는 것은 (예외 없이) 근본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다"
그리고 규범 윤리학은 자신만의 가치평가를 정당화하려고 시도한다.
-> "죽이는 행위는 되돌릴 수 없다."
2) 서술 윤리학 Deskriptive Ethik: 서술 윤리학은 이미 존재하는 도덕적 표상들에 대해 서술한다.
서술 윤리학은 도덕적 시스템들을 평가하지 않고 순수하게 서술한다.
예시: 베지테리언
"동물을 먹는 것 (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평가된 행위)은 잘못되었다. 왜냐하면 동물들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너무 많이 희생되기 때문이다 (정당화)."
3) 메타 윤리학 Metathik: 메타 윤리학은 어떻게 도덕이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.
도덕적 관점을 순수하게 서술하는 서술 윤리학과 반대로, 메타 윤리학은 어떻게 도덕적 시스템에 대한 가치판단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는지를 묻는다.
서술 윤리학이 이렇게 말한다면: " A라는 그룹은 X라는 상황에서 고문이 정당하다고 믿는다."
메타 윤리학은 이와 반대로: "만약 아이들이 권위적 교육을 받게 되면, 통계적으로 그들은 매우 높은 확률로 고문이 특정한 상황들에서 정당하다고 믿게 된다."
메타 윤리학에서 결정적인 것은 바로 "만약 아이들이 권위적 교육을 받게 된다면", 즉 어떻게 도덕적 판단이 형성되는지?라는 물음이다.
그리고 도덕적인 것의 내용은 메타 윤리학의 관심사가 아니다.
'끄적끄적 > 읽은 내용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낙태는 허용되어야 하는가? I Jeff McMahan, The Ethics of Killing: Problems at the Margins of Life, 4장 낙태 부분 (0) | 2020.09.24 |
---|
댓글